본문 바로가기

학생활동

학술회

학술회

제주대학교 전자공학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 ] 2023학년도 전자공학과 학술전시회

· 작성자 : 전자공학과      ·작성일 : 2023-11-30 11:37:31      ·조회수 : 1,090     

<2023 창의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한 학술 전시회>

2023학년도 제주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술전시회 작품을 온라인으로 소개합니다.

1학년~3학년 설계 및 팀프로젝트 작품들은 즐거운 감상 후에 평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4학년 졸업발표 작품들도 즐거운 감상바랍니다.

* 아래 작품 영상을 본 후 링크 클릭 혹은 QR스캔하여 평가에 참여해주세요. (평가 응답 시간: 2023.12.1.() 09:00~16:00)


심사위원용 평가지

학생용 평가지

학과 교수님, 졸업생, 제주대학교 학생 제외한 참관인 모두

제주대학교(전자공학과) 학생

https://forms.gle/GypovvaKFJDGXvL3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9d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1pixel, 세로 322pixel

https://forms.gle/su5hqQ9iQgHvBiQd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9d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3pixel, 세로 312pixel



 

<1학년 창의적공학설계 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11억원

날씨에 따른 전동 창문, 커튼

- 팀장: 문호성(1)

- 팀원: 강대운(3), 김익(1), 강윤성(1), 이재현(1)

밖의 날씨에 따라 창문과 커튼을 자동으로 조절해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자동 창문 및 커튼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햇빛의 세기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커튼을 닫히거나 열리게 하고, 창문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빗방울을 감지하여 모터를 동작시켜 창문이 자동으로 동작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c75159b4

이런이런

소음차단 블라인드

- 팀장: 김지수(1)

- 팀원: 강지혜(1), 변성운(1), 이지웅(1), 현지웅(1)

동물원의 동물 보호를 주 타켓으로, 관람객의 소음으로부터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음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고 소음 정도를 3단계로 구분, 1단계와 2단계에서는 경고 문구를 보여주고 3단계가 되면 블라인드가 닫히도록 소음차단 블라인드를 개발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c856ffde

Window23

R.S.A.W (Raindrop Sensor AutoWindow)

 

- 팀장: 황태연(4)

- 팀원: 송태영(2), 조은성(1), 고영석(1), 송재민(1), 정민후(1)

빗물감지 센서를 통해 창틈으로 들어오는 빗물을 감지하게 되면 모터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동으로 창문이 닫히게 구성하였다. 제약이 많은 기존 자동 창문과 달리 여닫이, 미닫이, 창문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줄을 사용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bf41eb0e

우리거 사조

골전도 알람 안대 끼고 안 일어나면 안돼!

- 팀장: 윤혁진(1)

- 팀원: 고혁민(1), 김태영(1), 김희승(1), 홍기범(1)

비행기 등 장시간 이용 대중교통에서 잠이 들 때를 대비하여 안대의 기능과 외부소음 없이 알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생활에 편리한 골전도 알람 안대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94fb92a07a  

공기저항

낙하물로 인한 지면의 충돌 사고 방지 시스템

- 팀장: 김채연(1),

- 팀원: 권우진(1), 마재원(1), 최충섭(1), 윤태근(1)

고층 건물에서 종종 발생하는 낙하물 사고에 대응해 두 줄의 센서라인을 이용한 시간차 계산으로 저층 외벽의 그물 모듈을 작동시켜 낙하물을 받아내는 시스템이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c5e63863

삑 그리고 다음 역

지문인식을 이용한 버스 결제 시스템

- 팀장: 김동우(1)

- 팀원: 현지민(1), 현관진(1), 이영훈(1), 양승운(1)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지문을 계좌와 연동 후 등록된 지문으로 버스 비용을 지불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지문 등록이 안된 경우를 대비하여 기존의 NFC 카드 단말기를 지문인식기 바로 밑에 설치하여 결제를 도와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c9737e2d



<2학년 디지털시스템 팀프로젝트 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 차였조?

조도계

팀장: 송민석(2)

팀원: 강다은(2), 김은석(2), 김지민(2),

문진이(2), 은승용(2)

빛의 밝기에 따라 내부저항이 바뀌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세기를 7-세그먼트에 표시하게 하는 조도계를 제작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94fdf6102f

돌려돌려2

디지털 룰렛

- 팀장: 이누리(2)

- 팀원: 현은빈(2), 정재원(2), 임시온(2), 오수철(4)

룰렛은 오락용 게임기이다. 카지노에 있는 룰렛은 기계적인 버전이고, 이것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적 버전인 디지털 룰렛을 제작했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016da65

암모나이트

정밀 스톱워치

- 팀장: 나윤수(2)

- 팀원: 최영준(2), 김영민(2), 백승광(2), 홍표렬(2), 김지환(2)

비안전 멀티바이브레이터, 6진 카운터 및 10진 카운터의 동작 원리를 이용하여 스톱워치를 설계하였다 0.01초 까지 표현 가능한 정밀 스톱워치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며,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자세 측정을 할 수 있게 구현하고자 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336c006

신호위반금지

교통신호등제어

- 팀장: 고상현(2)

- 팀원 강준수(2), 고경표(2), 고범영(2), 고승보(2)

사거리에서 좌회전 신호 없이 직진 신호만 있는 3색 교통신호등 제어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cb326405

배꼽시계

디지털 시계

- 팀장: 김자운(2)

- 팀원: 문현우(2), 이승빈(2), 장윤서(2), 현유준(2)

베릴로그를 이용하여 초, , 시간을 카운트하는 디지털시계를 구현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85d576d2fd

성이 주씨면 내 남편은 주사위

전자주사위

- 팀장: 현진우(2)

- 팀원: 노유지(3), 이소영(3)

7-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숫자로 표시하는 숫자 주사위를 제작하였다. Start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 빠른 속도로 숫자가 1부터 6까지를 랜덤하게 표시하다가 스위치를 떼는 순간에 1에서부터 6까지의 랜덤한 숫자를 하나 출력하게 되는 전자주사위를 구현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cec6c1e4

7

주차관리 시스템

- 팀장: 강대운(3)

- 팀원: 윤성진(2), 오성언(4), 김재석(4), 고경준(4)

주차 관리 시스템은 현재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수를 표시하는 시스템으로, 차량이 입구를 통과하면 숫자가 증가하고, 차량이 통과하면 숫자는 감소하도록 구현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6b5c53d


 

<3학년 캡스톤디자인 & 학술부 설계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MCC

MCC

(Memory Copy Controller)

-팀장 김민준(3)

-팀원 강호준(3), 김주현(3)

MCC(Memory Copy Controller)는 기존 SoC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IP, 메모리 카피 작업 중 CPUDMA 컨트롤러 간의 버스 통신으로 인한 성능 병목을 해결하기 위해 MCC를 도입되었다. MCCCPU와 메모리 컨트롤러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DMA 컨트롤러를 우회하고,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여 메모리 카피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7c14482

센서센스

출차 알림시스템

- 팀장: 부용준(3)

- 팀원: 김기철(3), 김현석(3), 이형민(3), 이현학(3)

회사나 상업시설이 한 곳에 몰려있는 빌딩(건물)같은 경우 각자 업무 보는 목적, 시간이 다 다르기 때문에 주차하려는 시간 또한 다 다를 것이다. 한정된 공간에서 보다 원활하고 질서있는 주차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출차정보시스템이라는 주차시스템을 제작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c963303

GH

Acoustic Trapping 기술을 이용한 전시대

-팀장: 정효상(3)

-팀원: 강대윤(3), 이예람(4), 강희경(3), 양지혜(3)

공기 중에 압점을 만들어 물체를 공중에 띄우는 Acoustic Trapping 기술을 이용한 전시대로써 물체를 공중에 띄우기도 하고 그것을 빠르게 움직여 Volumetric Display를 구현하여 전시품 주변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수효과를 줄 수 있는 전시대를 구현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85ce33c525

GOAT

어린이보호구역 자동(스마트)차단기

- 팀장: 윤예원(3)

- 팀원: 강민서(3), 이준영(3), 김동현(4), 임준용(3), 임연제(3)

어린이 보호구역의 횡단보드에서의 의 사고 발생율을 줄이기 위해 RFID 기술과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횡단보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압력 센서는 보행자가 건널 때 기존 차단봉 상태를 유지한다. 차량 신호등 색에 맞춰 LCD로 운전자에게 정지 및 출발 신호를 전달하며, RFIDMP3 모듈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건널 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피에조 부저는 차단기 작동 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사운드센서로 응급차량 우선 통행을구현해 교통 안전을 강화할 수 있게 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85d244717b

민들레

반려견 변뇨 자동 처리기

-팀장: 김민기(3)

-팀원: 오수철(4), 황태연(4), 김동훈(3), 김현영(3), 장승철(3)

반려견 변뇨 자동 처리기(다기능밀봉처리기)는 반려동물의 배설 이후 일정시간 뒤 패드를 말아 열을 가해 밀봉을 시킨다. 이때 사용하는 배변패드는 부직포패드에 비닐을 붙인 형태로, 배설물이 유출될 가능성도 줄이고, 열선을 통해 끝부분을 녹여 밀봉이 가능하게 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b81b6de

YKK

광대역 유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고속 및 저전력 데이터 변환기(ADC)개발

- 팀장: 양웅기(3)

- 팀원: 김한준(3), 김유승(3)

광대역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사용하는 DSP기반 고속 직렬 링크 개발을 목표로, 고속 동작과 저전력 효율을 갖추는 Flash ADC를 설계하였다. 장기 프로젝트로서 현 설계를 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에서 칩 제작과 검증 후 기술 특허 출원 및 국내외 반도체 부품과 통신 시스템 하드웨어에 응용할 예정이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a165cd6

Challenger

차량용 Lider 및 생체 신호 무선 Wearable 센서들을 위한 고해상도 저전력 데이터 변환기(ADC)

- 팀장: 김다연(3)

- 팀원: 황현기(3), 오상원(3)

차량용 LiDAR 및 생체 신호 무선 Wearable 센서 분야에서 활용할 있는 고해상도 저전력 데이터 변환기(ADC)를 설계하였다. 차량에 더욱 정확한 주변 환경 정보를 전달하며 안정성을 높여주고 배터리 소모를 줄여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wearable 센서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 정보를 정확하게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85cf977aab

대황전자

스마트 식물케어 시스템

- 학술부장: 김주현(3)

- 학술부원: 강호준(3), 오상원(3), 김유승(3), 양웅기(3), 김민준(3)

스마트 식물 케어 시스템은 머신러닝을 이용해 식물을 구분하고, 식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합성량, 온도,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식물 건강을 모니터링하며, 시스템은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성장 조건을 유지한다. 사용자는 앱 또는 웹을 통해 언제든 식물 상태를 확인하고, 시스템은 건강에 대한 경고와 권장 조치를 알려줍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식물 케어를 경험하며, 환경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학년 캡스톤디자인 설계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상조돈조

주차 공간 확인 시스템

-팀장: 박상진(4)

-팀원: 강영빈(4), 김민규(4), 양성혁(4), 강준필(4)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인근 부근을 돌아다니면서 주차 공간을 찾아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차량 주차 공간 확인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 시스템은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목적지 인근 주차장에 주차가 가능한지 알 수 있는 시스템으로, 주차장 cctv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미지 라벨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 주차 구역(empty), 주차된 상태(occupied), 주차장에는 들어와 있으나 주차를 하지 않은 차량(car) 3가지의 종류로 클래스를 분류하여 사용자가 주차공간에 직접 가보지 않더라도 cctv를 통하여 주차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e205b8fd

카트라이더

RFID를 활용한 쇼핑카트

- 팀장: 이재강(4)

- 팀원김태희(4), 양경택(4), 오성언(4), 정세훈(4)

셀프계산대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높은 활용성과 잠재력을 가진 RFID를 활용한 쇼핑카트를 설계하였다. 쇼핑카트에 제품을 넣을 시 자동으로 계산되며 카트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를 조작해 쇼핑에 있어 높은 자유도와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f46ffb2

다섯손가락

급가속 방지 장치

- 팀장: 임진현(4)

- 팀원: 김원석(4), 박세훈(4), 최진호(4), 이현지(4)

급가속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특히 엑셀 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오인하여 엑셀을 밟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급가속 방지 장치를 개발하였다. 특정 속도 이상 엑셀 페달을 밟으면 제동하게 하는 장치로, 경사진 도로에서 차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느 정도 급발진을 허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de41d3a5

캡스톤디자인중

거품높이 측정 센서

-팀장: 한정협(4)

-팀원: 고경준(4), 양재혁(4), 임용건(4)

가축분뇨는 대부분 생물학적 공정으로 처리되는데, 저류조를 거쳐 고액분리 후 분리된 고형분은 퇴비화하고, 폐수(액체)는 폭기조에서 산화된다. 이때 액비화를 위한 폭기(미생물을 이용한 액비 제작) 과정에서 거품이 발생하고 이 거품이 넘쳐 하수구로 흘러드는 경우 환경오염은 물론, 처리시설은 벌금 및 시설 운영 종료와 같은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여 농가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본 작품에서는 거품의 높이를 인지하여 문제 상황 전에 알려주는 인공지능 레이저 탐지 장치 개발을 통해 거품이 넘쳐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비용 절감을 통해 농가의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e1011e38

소분리에

SOBLIE

- 팀장: 최가연(4)

- 팀원: 박지은(4), 이예람(4), 임정희(4), 장민주(4)

딥러닝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tflite 파일로 변환 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ssets 부분에 적용하였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카메라와 앨범 선택 버튼을 생성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선택하도록 하고 이 사진을 바로 딥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어떤 class인지 분류하여 출력되도록 제작하였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혼동하기 쉬운 쓰레기에 대한 분류가 쉽고 간편하게 가능해졌고 업사이클링 팁이나 여러 분리수거 관련 팁을 제공하여 올바른 분리수거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e0273388

문열어조

유비쿼터스 락커

-팀장: 이유준(4)

-팀원: 오수철(4), 김재석(4), 김범진(4), 장지영(4)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보관함의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보관함이다. 입력 시 받침대가 아두이노 회로를 기반으로 서보모터 동작에 의해 상하로 접히며 공간을 확장함으로써 한 칸에 들어가지 않는 물건(예시:우산, 상하 혹은 좌우로 길이가 긴 물품 등)을 보관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추가 조작에 따라 보관함의 문도 잠금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편의성과 보관함이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공공시설, 헬스장, 도서관 등 다양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https://common.jejunu.ac.kr/em/6567de307c4a6


 


『2023학년도 전자공학과 학술전시회』에 대한 답변
2023학년도 전자공학과 학술전시회에 대한 답변
답변자 연락처

답변일: 2023-12-01


1페이지 / 현재 1페이지

학술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답변 조회
[공지] 2025학년도 학술부장 인사말 전자공학과 2025-01-08 대기중 248
5 2024 전자공학과 설계 및 팀프로젝트 작품 전시회.. 전자공학과 2024-11-27 대기중 772
2023학년도 전자공학과 학술전시회 전자공학과 2023-11-30 답변완료 1090
3 2022학년도 전자공학과 체험 및 설계 작품 전시 .. 전자공학과 2022-11-30 대기중 1023
2 2021 전자공학전공 온라인 학술 전시회 수상 결과 알.. 전자공학전공 2021-12-03 답변완료 926
1 2021학년도 전자공학전공 학술 전시회 작품 소개.. 전자공학전공 2021-12-01 답변완료 176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