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
Ⅰ. 전문성 |
기초에 충실한 전자공학 전문 인력 양성 |
|
- 전자공학에 필요한 수학, 기초과학 및 공학지식과 정보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공학문제들을 인식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
|
Ⅱ. 실무응용 |
실무능력을 겸비한 전자공학인 양성 |
|
- 전자공학분야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설계능력과 과제를 스스로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첨단 공학도구 및 정보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효과적인 의사전달능력을 바탕으로 복합 학제적 팀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
|
Ⅲ. 직업윤리 |
인성과 직업윤리를 갖춘 전자공학인 양성 |
|
- 인류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윤리관을 형성시키며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직업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 의식 형성하고 시사 논점들에 대한 기본 지식 배양 |
|
|
Ⅳ. 국제적감각 |
글로벌 능력을 갖춘 전자공학인 양성 |
|
- 국제표준 및 동향,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와 어학능력을 바탕으로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시사적 논점들에 대해 이해를 바탕으로 거시적 관점에서 국제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인재상
|
신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 리더형 인재 |
||
|
Vision |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인재 양성 |
|
|
Global |
세계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인재 양성 |
|
|
National |
우리나라의 신산업 신기술 흐름을 이해하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인재 양성 |
|
|
Local |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제주 신산업 성장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 |
|
중장기 발전(특성화)계획
|
발전(특성화) 계획 실천전략
|
단계 |
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른 실천전략 |
|
1단계 (2016 ~ 2020) |
|
|
2단계 (2021 ~ 2025) |
|
|
3단계 (2026 ~2030) |
|
전공능력
|
전공능력 |
||
|
1 |
기초지식 |
수학, 기초과학, 공학지식, 정보기술을 전자공학 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
2 |
자료분석 및 실험수행 |
정보를 분석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
|
3 |
문제인식 및 정의 |
전자공학의 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
|
4 |
기술이해 및 도구활용 |
전자공학분야의 최신정보, 연구결과를 이해하고 적절한 도구를 활용하여 공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
5 |
설계능력 |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구성요소와 시스템, 소자, 공정 등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능력 |
|
6 |
팀워크 |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팀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 및 리더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
7 |
의사전달 |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논리적인 표현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 |
|
8 |
영향이해 |
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파악하고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
9 |
직업윤리 |
전자공학도로서의 윤리적 가치관과 도덕의식,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직업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
10 |
자기계발 |
전자공학의 기술발전에 따른 자기계발 및 지식습득의 필요성 인식하고 능동적, 지속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능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