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생활동

학술회

학술회

제주대학교 전자공학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 ] 2024 전자공학과 설계 및 팀프로젝트 작품 전시회

· 작성자 : 전자공학과      ·작성일 : 2024-11-27 11:03:11      ·조회수 : 772     

<2024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설계 및 팀프로젝트 작품 전시회>


2024학년도 제주대학교 전자공학과 전시회 작품을 온라인으로 소개합니다.

1학년~3학년 설계 및 팀프로젝트 작품들은 즐거운 감상 후에 평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4학년 졸업발표 작품들도 즐거운 감상바랍니다.

* 아래 작품 영상을 본 후 링크 클릭 혹은 QR스캔하여 평가에 참여해주세요. (평가 응답 시간: 2024.11.28.() 10:00~16:00)


심사위원용 평가링크 (학생외 관람객 전원)

학생용 평가링크

https://forms.gle/PtF8uUHsYEX5RgX89

https://forms.gle/rFesmkXFJChdTT9g7




<1학년 창의적공학설계 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아이 지킴이

아이 방 지킴이

- 팀장: 강유린

- 팀원: 김보영, 송채은, 이승호

아이가 홀로 방에 있을 때 방 내부의 환경이 아이에게 적합한 환경인지를 감지하고 이상이 있을 시 부모가 이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작

https://common.jejunu.ac.kr/em/6747bd523bc87


강아지 밥통

스마트 원격 제어 자동 급식기

(강아지 밥통)

- 팀장: 고서윤

- 팀원: 김서준, 안형준, 이우진, 김진아

반려 동물에게 규칙적인 사료 제공이 되도록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으로 사료와 물을 정확한 시간에 공급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원격 제어 자동 급식기를 제작

https://common.jejunu.ac.kr/em/67466aca2b8b8

삼이일체

비오맨

- 팀장: 공아현

- 팀원: 김예림, 양준혁, 이현재, 박원진

비오는 날에 창문을 열고 외출을 하다가 집안에비가 들어와서 불편했던 경험과,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지 못하고 창문을 열었다가 집안에 미세먼지가 많이 들어왔던 경험을 토대로 자동감지 창문 개폐기를 제작

https://common.jejunu.ac.kr/em/67466aec33fc6

설계 4

점자 라벨 프린터

- 팀장: 진다은

- 팀원: 김주현, 오건우, 정준이, 김도윤

키보드나 기타 입력장치로 텍스트를 입력받아 이를 점자로 변환하고, USB 케이블로 연결된 라벨 프린터 본체로 전송해 라벨지에 물리적인 압력으로 점자를 찍어내는 점자 라벨 플린터를 제작

https://common.jejunu.ac.kr/em/6747cdf91b5b8

스마텀

스마트 리필

- 팀장: 김민수

- 팀원: 박시우, 유지은, 현지승

아두이노 기반의 자동 물 분배시스템을 갖춘 정수기로,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어린이 키에 맞춰적정량의 물이 자동으로 컵에 채워지도록 제작

https://common.jejunu.ac.kr/em/67466af952b42

두이센트

냄새 농도에 따른 탈취제 자동 분사기

- 팀장: 김민혁

- 팀원: 송도건, 윤희찬, 강다은

센서를 통해서 냄새의 농도를 확인하여, 임계치를 넘기면 탈취제를 자동 분사하는 시스템

https://common.jejunu.ac.kr/em/67466b0731098


<2학년 디지털시스템 팀프로젝트 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시공간붕괴

스마트 스톱 워치

- 팀장: 이동일

- 팀원: 강윤석, 문석현, 현주영

FPGA 보드를 이용한 Verilog 설계를 기반으로 정밀한 시간 기록을 구현 가능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화면 구성과 알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 음성 알림 및 진동 기능 제공. 에코모드를 통한 배터리 효율 극대화.

https://common.jejunu.ac.kr/em/67466bbd2ea99

울트라캡숑

주차관리시스템

- 팀장: 현지민

- 팀원: 강지혜, 김지환, 임현수

FPGA 보드의 스위치 1을 누르면 (차량 입차 상황), LCD‘Welcome’이라는 문구 출력. 세그먼트의 숫자(주차 가능 공간)1 감소. , 주차 공간이 1개 채워짐. 스위치 2를 누르면 (차량 출차 상황). LCD‘Good bye’라는 문구 출력. 세그먼트의 숫자가 1 증가. , 주차 가능 공간이 1개 추가. 이로써 주차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https://common.jejunu.ac.kr/em/67466bf516a78

아스날

ALU

- 팀장: 김채연

- 팀원: 김동우, 성정훈, 정승철, 홍기범

6비트의 입력값 (A, B)3비트의 op입력신호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눈 후 나머지 연산, 5가지의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입력값은 최대 63까지 가능하며, 결과값은 최대 4자리 10진수로 표현 가능. 음수 표현 지원 및 정수 범위에서 수행하지 못하는 범위의 연산일 경우 에러 문구 '9999' 출력.

https://common.jejunu.ac.kr/em/67466b1515bbe

포에버

교통신호등

- 팀장: 김동현

- 팀원: 김태영, 양재우, 조은성

심야 시간대에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고자 신호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광 제어하는 기능을 탑재한 교통신호등을 설계

https://common.jejunu.ac.kr/em/67466bcc37f6e

오리주물럭

룰렛6진수 숫자 야구 게임기

- 팀장: 김민수

- 팀원: 김형규, 오재훈, 최충섭

난수발생기 회로를 기반으로 무작위의 수열을 생성하고 비교기를 이용한 16진수 숫자야구 시스템클락 주기가 서로 다른 4개의 난수생성기에서 각각 4-bit 2진수의 값을 반환하여 수열을 설정하고,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받은 4-bit 2진수 배열 0000~1111를 비교기를 이용하여 게임 승리, Ball , Strike 수를 연산하는 확장된 16진수 숫자야구 시스템.

https://common.jejunu.ac.kr/em/67466bde6e631

6

금고

- 팀장: 김영근

- 팀원: 김희승, 유지은, 한영서

사전에 정한 4자리 비밀번호를 Key0~3을 이용하여 알맞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7-세그먼트에 OPEN이 출력.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방식은 내부에 D플립플롭의 클록과 입력을 연결하여 알맞은 비밀번호를 차례대로 입력해야 1이 다음 플립플롭으로 인가됨

https://common.jejunu.ac.kr/em/6747bd8e35338

칠면조

자판기

- 팀장: 김익

- 팀원: 김지수, 마재원, 윤혁진, 한진은

자판기 내부에 사용되는 조합회로와 순서회로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러한 회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직접 구현하였음. 구현한 자판기의 입력 조건은 돈과 음료 선택으로 구성. 돈은 100, 500, 1000원의 세 가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설정. 음료는 W()-600, F(환타)-1100, C(콜라)-1200, S(스프라트)-900원 네 가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

https://common.jejunu.ac.kr/em/67466b2a150f0


<3학년 캡스톤디자인 & 학술부 설계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저 좀 태워주세요

, 안탈 거라니까요

- 팀장: 노유지

- 팀원: 고유권, 문서연, 이소영, 문진이

정확하지 않은 버스 도착 시간과 긴 배차 간격으로 인해 버스를 놓치는 불편을 방지하고자, 승객들이 승차 여부를 사전에 전송하면 기사가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는 시스템을 설계.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2a6a60d

전자엘리트

공정 변수에 의한 기능성 고분자 박막의 특성 관찰

- 팀장: 윤성진

- 팀원: 강대운, 강준수, 현유준, 이승빈

고분자는 대부분 결정성 고분자이며, 고분자 막의 결정화도 및 결정의 방향 등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매우 크게 차이가 남. 회전도포(spin coating) 공정에서 새로운 공정 변수 도입의 유효성을 검증. 공정 변수(용액 농도 및 위치)에 의한 기능성 고분자 박막의 두께 관찰.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735ef52

Stack IT

적층형 인쇄 전자 소자 제작을 위한 공정 조건

- 팀장: 김영민

- 팀원: 문현우, 정금성

전자소자를 인쇄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 상태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적층하여 PN 접합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각 층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044fedc

디지바이스

고속 저전력 ADC

- 팀장: 나윤수

- 팀원: 현진우, 이윤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의 단점을 보완하여 고속 저전력 ADC 설계. 디지털 신호 처리(DSP) 기술을 활용해 ADC의 구조와 사양을 최적화하고, 실생활 전자기기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칩 제작.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1c24bed

술덤벙 물덤벙

음주측정기용 저전력 고이득 플로우센서 모듈 개발

- 팀장: 장윤서

- 팀원: 고상현, 김지민

음주측정기에 사용되는 저전력 고이득 플로우 센서를 개발하고, 기존 음주측정기에 사용되는 ADC와 다르게 CDA구조를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ADC 구조를 만들어 설계 단순화, 크기 축소, 다양한 기기에 적용 가능한 모듈화 솔루션을 제공함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8476745

사랑의 미깡핑!

AI 병해충 감지 장치

- 팀장: 김자운

- 팀원: 현은빈, 정재원, 송민석

움직이면서 감귤의 병해충을 AI로 감지하는 정치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으로 명령을 MCU로 전달해 작품의 움직임을 조작, 카메라 부분은 서보모터 각도 조절을 통해 높은 위치의 귤 병해충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병해충은 라즈베리파이에 내장된 AI 모델과 카메라 영상 입력을 통해 감지하게 구현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57783e9

Wire Wizards

CuO 박막 기반의 수광센서

- 팀장: 최영준

- 팀원: 강다은, 고승보

공정 조건을 다르게 한 박막기반의 CuO를 성장시켜 Phto Detector를 제작. 소자를 측정하기 위해 특정 파장에 대한 LED를 소자에 쏘면서 시간에 따른 소자의 전류를 측정하였고, 성능이 제일 좋은 소자를 선별함.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49367f3

씽씽아 밥먹자

풍력 발전을 활용한 에너지 효율을 높인 소형 모빌리티

학술부장:고상현

학술부원: 이형민, 장윤서, 김채연, 마재원, 김보영, 송채은, 송도건

RC카에 풍력발전 원리를 적용해 주행 중 발생하는 저항풍을 전기에너지로 전환, 실시간 충전이 가능한 모듈을 제작하려고함. 이는 기존 RC카의 배터리 소모와 주행시간 제한 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 자립 및 지속 가능한 이동 수단의 가능성을 제시할수 있음

https://common.jejunu.ac.kr/em/6747be1f9660a




<4학년 캡스톤디자인 설계작품>


팀명

작품명

팀구성원

작품설명

작품영상 URL

아직 한 발 남았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앱 및 시스템

- 팀장: 신우석

- 팀원: 김민기, 김현영, 정효상, 김동훈, 봉세현

오픈소스를 활용해 이용자에게 음성을 활용한 최적의 경로를 추천, 블루투스 기반 하차벨을 활용하여 실시간 거리 확인과 접근성을 제공하고, 실제 시각장애인의 불편한 접근성을 개선함.

https://common.jejunu.ac.kr/em/6747bdf97dc62

라스트 댄스

선형 타일 주소 변환기 하드웨어 구현

- 팀장: 김민준

- 팀원: 강대윤, 강호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미지 처리(ex 카메라 앱 등)를 할 때, 전통적으로는 선형 주소 매핑 방식, 타일 주소 매핑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시스템 구성에 따라 두 방식의 장점이 다르다. 제안하는 아이디어는 선형 또는 타일 형태로 유연하게 선택하고 동적으로 변환하는 LTC(Linear to Tile Converter) IP를 개발하여 이미지 처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https://common.jejunu.ac.kr/em/6747bdd033f1d

TS2

압력 발전기를 통한 신발 히팅 시스템

- 팀장: 부용준

- 팀원: 강민서, 김주현, 김현석, 이형민, 임연제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신발깔창에 내장, 걷는 동작을 할때 발생라는 압력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MCH히터를 작동시켜 히팅시스템을 개발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9252fff

YKK

광대역 유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고속 및 저전력 데이터변환기(ADC) 개발

- 팀장: 양웅기

- 팀원: 김유승, 김한준

기존 Flash ADC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차세대 유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집적회로 반도체칩 설계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be5cbc5

GOAT

어린이보호구역 자동차단기

- 팀장: 김동현

- 팀원: 이준영, 임준용

횡단보도 신호등에 따라 차단기를 자동 제어하며, 초음파 센서로 보행 중 신호 변경 시 차단봉이 유지되고 건넌 후 올라가도록 설계하였다. MP3 모듈로 시각장애인 안내방송 제공하고 사운드 감지 센서로 긴급 차량 우선 통행 허용함, 바닥 LED로 시각적 신호 표시.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a2693e1

햇빛가려조

횡단보도용 햇빛가림 공간

- 팀장: 장승철

- 팀원: 전승재, 이지훈, 홍서빈, 김강산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며 태양 전지를 통해 자가 충전이 가능하고 휴대기기 충전과 냉난방 등 부가 편의 기능을 갖춘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횡단보도용 햇빛가림 부스를 구성함.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da4aadb

그래꽃

3차원 형상 그래핀과 유전체의 접합 형성방법에 대한 연구

- 팀장: 강희경

- 팀원: 황보현정, 이현학

그래핀과 유전체의 밀착도를 극대화하여 구조적 빈 공간 최소화, 저전압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커패시터 구현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

https://common.jejunu.ac.kr/em/67466ccd3d571

Challenger

차량용 LiDAR 및 생체 신호 무선 Wearable 센서들을 위한 고해상도 저전력 데이터 변환기(ADC)

- 팀장: 김다연

- 팀원: 황현기, 오상원

웨어러블, LiDAR 센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설계하고 제작. 효율적인 전력 소비 특성으로 인해 장시간 동작해야 하는 워어러블 및 LiDAR 센서에 적합하고 이러한 기술 발전은 새로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하여 웨어러블 기기 및 전기차 등을 위한 저전력 ADC 칩의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 기대함.

https://common.jejunu.ac.kr/em/6747be5419d71





1페이지 / 현재 1페이지

학술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답변 조회
[공지] 2025학년도 학술부장 인사말 전자공학과 2025-01-08 대기중 249
2024 전자공학과 설계 및 팀프로젝트 작품 전시회.. 전자공학과 2024-11-27 대기중 772
4 2023학년도 전자공학과 학술전시회 전자공학과 2023-11-30 답변완료 1091
3 2022학년도 전자공학과 체험 및 설계 작품 전시 .. 전자공학과 2022-11-30 대기중 1023
2 2021 전자공학전공 온라인 학술 전시회 수상 결과 알.. 전자공학전공 2021-12-03 답변완료 927
1 2021학년도 전자공학전공 학술 전시회 작품 소개.. 전자공학전공 2021-12-01 답변완료 1764

1